2020년 정보통신망법에 규정된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사항이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이관되기 전,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 2016. 1. 1.] [법률 제13423호, 2015. 7. 24., 일부개정]
정보통신망법 [시행 2015. 12. 23.] [법률 제13344호, 2015. 6. 22., 일부개정]
법률을 비교 분석한 내용이다.

* 법무법인 민후 김경환 대표변호사 작성, 블로그(2016. 3. 9.) 기고.
최종 수정일: 2022년 9월 13일
2020년 정보통신망법에 규정된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사항이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이관되기 전,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 2016. 1. 1.] [법률 제13423호, 2015. 7. 24., 일부개정]
정보통신망법 [시행 2015. 12. 23.] [법률 제13344호, 2015. 6. 22., 일부개정]
법률을 비교 분석한 내용이다.
* 법무법인 민후 김경환 대표변호사 작성, 블로그(2016. 3. 9.) 기고.
태그:
초상권 침해소송의 법적 쟁점
영업비밀원본증명제도의 효력
특허침해 과제의 해결원리 (균등론)
영업비밀로 인정받기 위한 비밀관리성 판단의 기준
디자인권침해 형사고소 친고죄에서 반의사불벌죄로 변경 (2022. 6. 10.)
무권리자의 NFT 발행 법률관계
행태정보 맞춤형 광고에 대한 CPRA의 규제
법적 분쟁을 방지하는 SW 개발 계약서 작성 노하우 (1)
수사기관에 타인 개인정보 제출할 때 신중해야
코인이 과다 발행되면 가치가 하락하는가? 비상장코인의 가치 산정 방법은
어느 날, 나의 카카오톡 대화내용이 압수수색 대상이 되었다
위믹스 가처분 결정의 법적 분석 및 시사점
내가 먼저 쓰고 있던 상호, 상표권 침해금지 청구를 받는다면?
가상자산의 법적ㆍ소송상 쟁점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 통신판매중개업자의 유형
전자 쿠폰, 충전식 적립금 등 신유형 상품권 관리 기준
공개된 얼굴정보(개인정보)의 스크래핑은 적법한가?